티스토리

포토아키 PhotoArchi
검색하기

블로그 홈

포토아키 PhotoArchi

photoarchi.com/m

photoarchi 님의 블로그 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포토아키"라는 이름으로 건축물이 있⋯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가을 콘크리트 가을을 탐색하던 어느 날, 붉은 가을 단풍과 잎을 모두 떨궈버린 나목과 콘크리트 건물이 어우러져 있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4. 10.
  • 동대문디자인프라자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1. 28.
  • 온양민속박물관 온양민속박물관, 사립민속박물관으로 한국에서 가장 먼저 개관한 계몽사 대표 故 김원대 씨가 1978년에 설립했다. 입구에 들어서면 넓은 로비가 보인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1. 15.
  • 널판지 천정과의 만남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1. 11.
  • 지붕과의 만남 삼각형 양철 지붕에 돌출 사각형 출구를 내서 또 다른 공간으로 소통하는 길을 냈다. 뒤돌아 보니 비상하려고 하는 새같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1. 8.
  • 충남도청사 CANON EOSR 충남도청[홍성 내포신도시] 공감수 1 댓글수 3 2025. 1. 3.
  • 온양민속박물관 온양민속박물관, 인간의 출생에서부터 유년기를 거쳐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에 이르러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전시해 놓고 관람자들의 삶을 뒤돌아 보게 만든다. 문명이 싹트기 전 성년이 된 사람들의  생업인 농업,어업,수렵에 의존하면서 삶을 유지해왔던 성년들의 생활상을 실감나게 제작해 전시해 놓았다. 공감수 1 댓글수 2 2024. 12. 30.
  • 건축 남서울대 아동복지학관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29.
  • 건물이 있는 풍경 2024 11건축물은 인위적으로 인간이 필요에 의해 만든 공간이다. 더위를 피할수도 있고, 추위를 피할수도 있고, 여러 자연 재해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그 자체는 살아있지 못하다. 하지만 수목은 동물처럼 자유롭게 움직일수는 없으나 땅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광합성 작용을 통해 생명을 유지하고 인간들이 내뿜은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이고 이로운 산소를 잎을 통해서 배출하는 생명체이다. 이 두 가지를 조화롭게 만드는 것이 설계자들의 몫이고 인위적이긴 하지만 수목과 식물의 밀도를 높이는 것이 보다 더 가치있는 건축 환경으로 선호되어 진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2. 23.
  • 고인돌 박물관 2013 10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고창 고인돌 박물관. 청동기 시대 500여기의 다양한 형식과 모양을 가진 크고 작은 고인돌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곳이고 고인돌 무덤이 있는 곳에서 연결되는 운곡 람사르 습지 탐방은 덤으로 얻는 힐링이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19.
  • 영인산자연휴양림 2023 05담쟁이 덩쿨은 가을 낙엽을 많이 만든다. 낙엽을 많이 떨어트리는 만큼 삭막한 벽을 풍성한 녹색의 낙엽으로 감싸 살아있는 벽으로 만들고 게다가 운치를 더해 준다. 실내를 시원하게 해주는 것은 덤이다. 아산 영인산 자연휴양림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2. 18.
  • 드링크drink 2018 06녹슨 철판 외장재로 지은 미니 샵, 파주 통일전망대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2. 17.
  • 숲속의 집 숲속의집. 갖고 싶은 휴식처다, 여행길에 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가다가 꺼내서 쉬고 싶은 곳이다. 맑은 공기, 맑은 시냇물, 아름다운 새 소리, 피톤치드가 하나 가득한 자연속에서 몸과 마음이 쉼을 얻는 세컨드 하우스였으면 좋겠다. 자연과 하나가 된 듯 삼각형 지붕의 작은 숲속의 집이 참 아름답다. (태백고원자연휴양림 트리하우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2. 17.
  • 국립생태원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유선형 에코리움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16.
  • 국립생태원 이날따라 유난히 채색한 것처럼 하늘이 파랬다. 대형 유리창을 통해 자연광을 최대한 받아들여 식물 성장을 유도한 유선형의 에코리움 건축물이 아름답기 그지없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16.
  • 건축현장 건축 현장 스케치, 무더운 여름 7월에 땀흘리며 일하는 건축 쟁이들, 크레인으로 들어 올린 모듈러 박스는 정확하게 자기 위치를 찾아갈 것이다. 왜냐하면 모듈러가 도착하기 전 모듈러 설치할 자리의 수 십개 기초판 수평을 한치의 오차도 없이 셋팅해 놓고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놓으면 정확하게 오차없이 놓아지기 때문이다. 우리의 눈으로 보기에 평평한 것 같이 보이지만 높낮이가 서로 다른 지형이기에 정교하게 수평을 맞춰 놓는 기술자의 실력을 보았다. 그 기술자는 모듈러가 모두 셋팅되자 자기의 임무를 완수하고 그 현장을 떠났다. 그는 건축물 기초 수평을 맞추는 기술자인 것이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15.
  • 지붕과 지붕 사이 2024 11지붕과 지붕 사이. 지붕위로 또 다른 지붕의 그림자가 얹혀있고 그 끝을 마주하여 또 다른 건물의 지붕이 놓여있다. 잎을 다 떨군 담쟁이 덩쿨이 찰거머리 처럼 벽에 달라붙어 있어 때는 겨울임을 알수 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12.
  • 유리건물glass building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11.
  • 에코리움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에코리움 건축물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9.
  • 이순신 기념관 충남 아산 현충사 내의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2. 9.
  • 접속 서있는 건물과 누워있는 건물이 만났다. 건물 하나와 또 다른 건물을 향해 연결되어지는 지붕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조합으로 세로와 가로가 만났다. 그 위의 청명한 하늘과 가늘게 뻗어가는 구름은 보는 이의 마음을 시원하게 한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7.
  • 동대문 디자인 프라자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안으로 밖으로 우로 좌로 온통 부드러운 유선형의 곡선을 이용한 건축물이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6.
  • 현충사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충남 아산)으로 2011년 개관했다. 지상1층 지하1층의 철근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외벽에 창이 없는 단조로워 보이는 독특한 건축물이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2. 2.
  • 출구出口 파주 출판단지내 건축물의 지층으로 연결된 출입구, 남쪽으로 연결된 출입구에 밝은 빛이 부드럽게 쏟아져 들어와 어두움과 밝음의 명암 대비로 이루어진 장면으로 일반적으로 사진의 소재가 되지 않으나 강한 명암 대비가 소재를 만들어 주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1.
  • 국립생태원 "생명의 맥박" -Vital Pulse 서천 국립생태원 건립 마스터 플랜 설계 공모작의 이름이다. 생태원으로서 건축물의 디자인, 조화로운 공간배치, 친환경적 설계가 매우 돋보이는 작품이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1. 30.
  • 라운드 벽체 충남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의 방문자 센터 출입구. 건물로 들어설 수록 벽의 높이가 높아지는 곡선 처리된 라운드형 입구가 운치가 있다. 해안가이기 때문에 바람을 직선으로 받지 않기 위한 설계인듯하고 미관상으로도 아름답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1. 30.
  • 옥상정원屋上庭園 대부분 옥상은 단조롭기 그지없다. 그러나 이 건축물은 옥상에 코일매트를 깔고 해가림 테이블과 의자를 설치하여 저수지를 조망할 수 있도록 만드니 별 볼일 없는 공간을 쓸모있게 만들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1. 29.
  • 첫 눈 올 해 첫 눈이 왔네요. 첫 눈인 만큼 마음이 즐겁습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1. 28.
  • 현대건축 건축물을 떠받치고 있는 철강 원형 기둥, 벽체 전체의 마감 재료인 유리, "형태와 디자인은 기능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현대 건축의 기능주의에 부합되는 실용성이 강조된  관공서 건축물이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1. 27.
  • 사진은 언어다 역광으로 드리운 강한 그림자, 직선으로 만들어진 건축물이지만 두 개의 사선으로 보이는 라인, 나의 생각을 말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사진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말보다는 시각적으로 더 리얼하게 표현할 수있는 것이 사진이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1. 21.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